핀란드의 모든 시민은 학생이다 - 핀란드 교육의 두 번째 대전제는 학습의 목표를 단기 간에 많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학입시에 모든 학습의 목표가 맞추어져 있는 우리의 공교육은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보다 적은 시간을 들여 보다 많은 지식을 암기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핀란드는 우리와는 전혀 다른 목표를 두고 있는 것이다. 우선, 핀란드에서 대학이란 순수학문을 보다 심화 있게 학습하려는 이들을 위한 고등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의 현실처럼 대학이 취업 준비기관으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핀란드에서는 취업을 위한 각종 사회적 교육기관을 별도로 마련해두고 있다. 따라서 취업을 목적으로는 하는 이들은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취업교육기관으로 진학한다. ..
'핀란드 교육'은 없다 우리가 흔히 핀란드 교육, 핀란드 교육이라고 지칭하지만 - 필자마저도 - 엄밀한 의미에서 '핀란드 교육'이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3부에 걸쳐 '핀란드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했으면서 갑자기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일까 싶을 것이다. 서둘러 해명을 해드리겠다. 핀란드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의 공통 교육과정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필수 교과니, 학년별 필수 수업 시수니, 일반 교육과정이니 하는 국가에서 일률적으로 정한 기준에 의해 전국의 모든 공교육 시스템이 일괄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핀란드에는 그런 것이 없다. 국가는 단지 아이들에게 필요한 학습의 테마를 제공할 뿐이다. 가령, 그래도 학생들이 핀란드어는 배웠으면 좋겠다, 물리, 화학, 생물 등의..
삶의 자립, 그리고 학습의 자립 핀란드 교육의 가장 명백한 특징은 학습에 있어서의 자립이다. 아이들은 일찍부터 자기 스스로 자기가 배울 것을 선택하고 학습해 가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보여지는 영재들을 위한 자기 주도학습과는 달리, 학업 성과가 뛰어나건 뛰어나지 않건 핀란드의 아이들에게는 학습은 곧 자기의 몫이다. 하지만 뭐든 자기 몫으로 맡겨만 둔다면 공부를 알아서 할 학생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핀란드 교육도 오래전에 봉착한 문제이다. 자유교육을 표방하며 의욕적으로 나섰던 국가들도 결국 이 문제에 봉착한 후 다시 일률적이고 강압적인 평가 시스템이나 교육방법을 적용할 수 밖에 없었다. 허나 핀란드는 같은 과오를 반복하지 않았다. 오히려 핀란드는 좀 더 개인의 ..
핀란드 교육 혁명! 한국도 대단해?교육계에 부는 핀란드 교육의 바람이 거세다. 서점가의 교육학 코너에는 핀란드 교육의 비결, 비법, 비밀 등등의 제목은 물론 핀란드 교육'혁명'이라는 책까지 등장했다. 요즘의 이러한 핀란드 교육 열풍은 역시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적 교육평가 PISA의 결과 덕분일 것이다. PISA를 통한 평가 결과 핀란드는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가히 교육 선진국, 교육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대한민국 최북단에 위치한 파주에 조용히 살아가고 있는 나 같은 대안학교 교사에게도 직간접적으로 그 열기가 느껴질 정도이니, 그 위세가 실감이 간다. 특히, 일본은 PISA에서 내리 저조한 성적을 거둠으로써 국가 전체가 나서서 핀란드를 벤치 마킹하려는..
에코페미니즘1)의 관점에서 바라본가족형태 변화와 공공의 문제 1. 가족형태의 변화 20세기 후반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오던 가족형태의 변화는 21세기에 들어와서 보다 구체적인 모습을 띠기 시작했다. 이혼의 증가로 인한 한 부모 가족이 증가했고, 입양아 가족, 무자녀가족, 친구가족, 동성가족 등 다양한 형식의 다른 가족 형태들도 늘어가는 추세다. 이러한 가족의 변화에 발맞추기라도 한 듯, 최근 호주제가 전격 폐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보수주의자들2) 의 반발을 사고 있다. 그들은 이러한 가족형태의 변화가 변화가 아닌 해체이며, 파괴이고, 전통적인 가치를 훼손시킨다고 주장한다. 보수주의자들이 원하는 가족은 언제까지나 조선시대의 모습을 하고 있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부모가 있고(두 사람 모두), 자녀가..
지금 시각은 11:00 때는 2012년 12월 31일이다. 나는 동해 바다로 해를 보러 떠나는 대신 두 편의 글을 기획하고 있다. 하나는 ‘세상’에 대한 글이고 하나는 ‘나’에 대한 글이다. 그리고 어쩌면 이 두 편의 글은 서로 연관을 맺을 지도 모르겠다. 먼저 쓰는 쪽은 ‘세상’에 대한 글이다. 마야 족의 예언에 따라 세상이 아직 멸망하지 않은 것에 대한 감사의 차원에서 먼저 쓰는 것이라고 해두자. 물론 사실은 아니다. 웰빙, 힐링, 그리고 우리가 탐닉하고자 하는 것 우주가 갑자기 인플레이션으로 확장되고 빅뱅을 일으켜 지금 크기의 우주가 된지 137.5억년 가량이 되었고, 유럽에서는 한류 가수 중 ‘빅뱅’의 선호도가 가장 높다고 한다. 진화론에 의하면 세상은 어쩌다보니 만들어졌고, 창조론에 의하면 신의..
욕 좀 제대로 하고 삽시다 20대 초반이었던 시절, 도올선생님의 도올서원 강좌를 수강하던 때의 일이다. 한 학생이 선생님께 왜 욕을 그렇게 자주하냐고 물었다. 그러자 선생님 곧바로 그 학생에게 욕을 했다. 야 이 개새끼야! 내가 언제 욕을 자주했냐! 그 학생은 곧 울먹거리는 표정이 되고 말았다. 이어서 도올 샘이 미소를 지으며 말을 이었다. 나는 욕을 자주하지 않는다. 오직 욕이 필요한 상황에만 한다. 욕이 필요한 상황이란, 상대에게 강력한 나의 의사표현을 하기 위한 순간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언어란 지나는 바람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내가 아무리 거칠게 입을 놀린들 상대가 수신하지 않으면 모든 언어는 무력하다. 그리고 근원적으로 욕은 힘의 우위에 있는 사람이 자기보다 약한 위치에 있는 상대를 향하여 ..
자연이 아름다운 이유는 무엇일까. 소년일 때의 나는 혼자 동네 뒷산에 가기를 즐겼다. 우거진 숲 속을 거닐다 어느 정도 높은 곳에 다다르면 탁 트인 하늘과 깨알 같은 집의 지붕들이 보였다. 앉기에 안성맞춤인 바위를 찾아 걸터앉아 흘러가는 구름을 바라보고 있으면 그 아름다움에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매료되곤 했었다. 그럴 때마다 문득 생각하곤 했다. 자연이 아름다운 이유는 무엇일까. 왜 이토록 나의 마음을 이끄는 것일까. 그 시절에는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한 채 그저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의 빛과 향, 촉감에 푹 빠져지냈다. 많은 시간이 지난 요즘에도 때때로 하염없이 붉게 젖어드는 저녁 놀을 보면 가슴이 뛴다. 자연은 왜 이토록 아름다울까. 최근에 학교에서 아이들과 있었던 재미난 에피소드 덕에 '아, 자연이..